본문 바로가기
취미(樂)/나의도서관

결핍은 어떻게 우리를 변화시키는가

by ㅋㅕㅋㅕㅇㅣ 2025. 5. 12.

 

누군가를 비판하기 전에 반드시 그 사람의 신발을 신고 1마일을 걸어야 한다. 
이렇게 어떤 사람을 비판하면 당신은 당신의 예전 위치에서 1마일 떨어져 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다.
- 잭 핸디

 

 

 

센딜 멀레이너선, 엘다 샤퍼 지음 / 이경식 옮김

 

★★★

 

책을 읽게 된 계기

뇌과학이나 심리에 대한 인문학서가 꽤나 재미있어서 책 내용이 궁금해서 읽게 되었다.


책 내용 요약

p9

결핍은 어떤 것을 매우 적게 가질 때의 불쾌함 그 이상이다. 결핍은 사람이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어 놓는다. 결핍은 사람의 정신을 그 자신의 무게로 무겁게 짓누른다.

 

p14

결핍은 우리 정신의 가장 높은 곳에 앉아 우리에게 영향력을 행사한다. 우리가 어떤 것을 깨닫는 데에, 우리가 여러 가지의 대안을 놓고 저울질 하는 데에, 우리가 깊이 고민하다 마침내 어떤 결정을 내리는 데에, 그리고 우리가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결핍을 느끼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결핍을 느끼지 못할 때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자기에게 닥친 문제들을 처리한다.

 

p30

터널링은 터널 시야(tunnel vision) 현상을 연상하도록 일부로 선택한 용어이다. 긴 터널 안에 들어가면 오로지 멀리서 빛을 발하는 출구만 보이고 주변의 모든 사물은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관심을 두는 대상만 ㅂ조이고 나머지는 보이지 않는 현상을 터널 시야 현상이라고 부른다.

 

'집중'은 긍정적이다. 결핍은 우리로 하여금 현재 가장 중요해 보이는 것에 집중하도록 만든다. 그러나 '터널링'은 긍정적이지 않다. 결핍은 사람들로 하여금 터널링을 유도해서 어쩌면 더 중요할 수도 있는 다른 것들을 무시하게 만든다. 

 

p38

어떤 특정한 선택이 잘못된 것인지 어떤지 판단하기란 언제나 어려운 일이다.

 

p56

빈자는 결핍을 자극하는 아주 사소한 요소 하나만으로 갑자기 그렇게 충동적으로 바뀌었다.

 

p60

다이어트는 정신적으로 세금을 부과받는 일이다.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은 어떤 일을 하든 간에 정신 자원이 줄어든 상태에서 그 일을 해야 한다. 정신의 일부를 음식과 관련된 생각에 소모하기 때문이다.

 

p61

칼로리 결핍으로 인한 결과들이 우리가 소득 결핍을 연구하면서 관찰한 결과와 판박이라는 사실은 놀랍고도 특이하다.

 

p83

없어도 될 것이 많을수록 부유한 사람이다.

 

p95

풍족함은 1달러의 가치를 인식하기가 한층 어려운 지점에 우리를 데려다 놓는다.

 

p115

지금 이 순간에서 발을 빼고 뒤로 물러나 미래를 내다보려면 보다 넓은 관점과 일정량의 인지 자원이 필요하다.

 

p120

문제는 얼마나 많은 시간이 투입되는가가 아니라 그 시간이 어떻게 투입되는가 하는 점이다.

 

7장. 빈곤이라는 결핍

가난한 사람은 많은 점에서 부족하다. 미국에서 가난한 사람은 비만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 대부분의 개발 도상국에서 가난한 사람은 자식을 학교에 덜 보낸다. 가난한 사람은 충분히 저축을 하지 않는다. 가난한 사람은 아이들에게 예방 주사를 덜 맞힌다. 한 마을에서 가장 가난한 가구는 손을 적게 씻고 또 식수를 정수해 마시지 않는 경향이 가장 높다. 가난한 여자는 임신했을 때 적절한 음식을 먹거나 태아를 위해 조심하는 경향이 낮다. 이런 종류의 증거는 널리고 널렸다. 

이런 온갖 사실들은 마치 음헌한 의도를 가진 어떤 지루한 주장처럼 계속 이어지는데, 바로 여기에서 (코끼리처럼) 어마어마하게 크고 까다로운 문제가 제기된다. 이 문제는 지독할 정도로 오래 방치된 것이고, 그러다 보니 이제는 어쩐지 지겹기까지 하다. 바로 이 문제이다.

'왜 가난한 사람들은 그렇게 다양한 분야에서 그렇게 형편없이 행동할까?'

이것이 바로 방 안에 있는 코끼리, 누구나 문제임은 인식하지만 쉽사리 말을 꺼내지 못하는 난감한 문제이다. 우리는 이 코끼리를 정면으로 바라보기로 한다.

 

훌륭한 훈육은 일반적으로 대역폭을 요구한다. 복잡한 판단과 희생을 요구한다. 아이들이 좋아하지 않는 일을 하게 하려면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약속을 했으면 꼭 지켜야 하고, 계획에 따라서 활동해야 하고, 교사를 만나서 아이들이 학교에서 어떻게 지내는지 전해 들어야 하며, 과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 주고 또 지켜봐야 한다. 이런 일은 누구에게든, 그리고 그 사람이 어떤 자원을 얼마나 만힝 가지고 있든 간에 쉽지 않다. 대역폭이 축소되어 있을 때는 두 배로 힘들다. 이런 순간에는 끈기를 가지고 참으며 또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정신적 자유(느슨함)를 충분히 가지고 있지 않다. 낮의 복잡하고 부산스러웠던 하늘은 그날 밤에도 항공 관제사의 정신을 부산하고 복잡하게 만든다. 직장에서 힘든 하루를 보낸 항공 관제사는 집에 돌아와 좋지 않은 부모가 된다.

가난한 사람은 자기만의 비행기들을 마음속 하늘에 띄워 두고 있다. 가난한 사람은 집세, 대출금, 연체된 청구서, 다가오는 결제일 등을 놓고 머릿속으로 저글링을 한다. 이들의 대역폭은 결핍을 관리하는 데 소진되었다. 

...

좋은 부모가 되는 데는 많은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정신적 자유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것은 가난한 부모로서는 언감생심 사치일 뿐이다.

...

연구자들은 빈곤을 연구할 때 여러 물질적인 조건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심리적인 여러 조건들, 즉 대역폭을 함께 바라보아야 한다. 이런 식으로 바라보면 이해할 수 없는 기존 수수께끼들의 해법이 보일 수 있다. 가난한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가난한 사람들이 집중을 하고 터널링 상태에 빠지고 온갖 실수를 저지른다는 사실을, 즉 돈만 부족한 게 아니라 대역폭도 부족하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3부. 결핍을 위한 설계

 

 


느낀 점 및 생각

살면서 중요한 선택들을 반드시 해야하고 어쩌면 선택을 강요받기도 한다.

내가 하는 판단과 결정들이 옳은 것인지. 후회하지 않을 수 있을지 불안하고 그 생각에서 빠져나오기 어려울 때가 있다.

무엇이 결핍되어 나는 고민하고 후회를 걱정하는지 들여다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


책을 읽고 변화된 점




'취미(樂) > 나의도서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스터 콜스  (0) 2025.05.12
쇼펜하우어의 냉철한 조언  (0) 2025.03.05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2) 2024.11.03
청소년을 위한 국부론  (3) 2024.10.29
나는 주식 대신 달러를 산다  (8) 2024.10.01

댓글